[사회과학] 노령화 문제 - 고령사회(인구 노령화의 배경과 추세,
세계에서 가장 빨리 늙어가는 대한민국, 고령화 시대의 정치 사회 경제적 영향)
노령화 문제 - 고령사회(인구 노령화의 배경과 추세,
세계에서 가장 빨리 늙어가는 대한민국, 고령화 시대의 정치사회경제적 영향)
인구 노령화의 배경과 추세
한국사회는 지난
수 십 년 동안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사회문제를 경험하였으며 보다 빠른 속도의 사회 변동이 예i상되는 21세기에는
더욱 많은 사회문제를 직면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사회가 앞으로 직면하게 될 많은 문제 가운데 사회환경의 개선과 더불어 평균 수명의
연장에 따른 급격한 노인인구의 증가는 가족, 지역사회, 및 국가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칠 것임에 틀림이 없다. 이러한 노인인구와 관련된
문제들은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는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른 급격한 사회변동에서 비롯된 노인들에 대한 가족성원 및 사회의 가치변화에서
기인되는 문제들이 주종을 이루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의 노인문제는 상대적 비율이 높아지면서 생겨나는 문제들이 점차적으로 많아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세계에서 가장 빨리 늙어가는 대한민국
일반적으로 고령화를 판단하는 기준은 UN이 정한 기준이
교과서처럼 널리 쓰이고 있다. UN은 연령구조에 따라 한 나라의 인구유형을 세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 미만인 국가는 유년인구국, 4~7%인 국가를 성년인구국, 7% 이상인 국가를 노년인구국이라고 구분했다. 또
고령화 사회는 노인인구 비중이 7% 이상인 사회를, 고령사회는 14% 이상인 사회를 일컫는다.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중이 20% 이상에
달하는 국가는 초고령사회로 따로 부르기도 한다. UN이 정의한 것은 아니지만 노인인구가 급증하면서 선진국에서는 ‘고령인구의 고령화’라는
신조어도 생겨났다. 노인들 중에서도 85세 이상의 후기노인 수가 65~74세까지의 젊은 노인인구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것이
인구통계학상의 현상이다.
고령화사회는 근본적으로 출산율이 하락하는 ‘저출산사회’에서 주로 발생한다. 그리고 의학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사망률이 감소한 것이 사회가 고령화되는 또 하나의 원인이다. 이러한 평균수명의 연장과 출산력 저하 현상을 부추기는
요소로서 식생활 및 영양 개선, 공중위생 및 생활수준의 향상, 개인가치관의 변화 등도 있겠지만, 한편으로는 각종 보건복지제도의 혜택으로 인한
삶의 안정도 크게 기여해 온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고령화는
출산율이 급속히 감소하고, 평균수명은 급속히 증가했기 때문이다. 한 사회가 인구구조를 유지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출산율을 대체출산율이라
하는데, 이는 가임 여성 1인당 2.1명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는 1970년 4.5인 출산율이 1998년에는 대체출산율에도 크게 못 미치는
1.4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여성들의 경제활동이 증가하면서 신생아의 출생이 급속하게 하락한 것이 가장 중요한 원인이며, 앞으로도 여성들의
경제활동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출산율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의학기술이 급속하게 발달하여
1970년에는 63.2세이던 평균수명이 1985년에는 68.4명, 2000년에는 75.9세로 증가하였다. 더욱이 2005년에는 평균
77.7세(남자: 74.4세, 여자: 81.2세)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통계청, 2002). 이와 같이, 출산률의 저하와 평균수명의
증가는 우리 나라가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급속한 고령사회로 변화하는 원인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02년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7.9%인 377만명. 2019년에는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14.4%에 달해 UN이 정한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000년 7.2%로 이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점을 감안하면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진입하는 기간인
19년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다. 또 고령사회에 들어선 후 7년 뒤인 2026년에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게 되리란 전망이다. 반세기
이상에 걸쳐 고령화가 진행된 선진국들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이 빠르다.
농어촌의 경우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15.8%(02년)로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
`주요국의 인구 고령화 속도`
도달년도
소요기간(년)
65세 이상
인구비중
7%
14%
20%
7%→14%
14%→20%
한국
2000
2019
2026
19
7
일본
1970
1994
2006
24
12
프랑스
1864
1979
2020
115
41
독일
1932
1972
2012
40
40
영국
1929
1976
2021
47
45
`
연령계층별 인구 및 구성비 추이 `
(단위 : 천명,
%)
1980
1990
2000
2003
2010
2020
2030
총인구
38,124
42,869
47,008
47,925
49,594
50,650
50,296
0~14세
12,951
10,974
9,911
9,719
8,552
7,034
6,217
15~64세
23,717
29,701
33,702
34,238
35,741
35,948
32,475
65세+
1,456
2,195
3,395
3,969
5,302
7,667
11,604
구성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0~14세
34.0
25.6
21.1
20.3
17.2
13.9
12.4
15~64세
62.2
69.3
71.7
71.4
72.1
..... (중략:첨부파일 클릭 바랍니다)
제목 : [사회과학] 노령화
문제 - 고령사회(인구 노령화의 배경과 추세, 세계에서 가장 빨리 늙어가는 대한민국, 고령화 시대의 정치 사회 경제적 영향) -지식114
출처 : 지식114 자료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7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사회과학] 노령화 문제 - 고령사회(인구 노령화의 배경과 추세, 세계에서 가장 빨리 늙어가는 대한민국, 고령화 시대의
정치 사회 경제적 영향) 파일이름 : 사회과학 노령화 문제 - 고령사회(인구 노령화의 배경과 추세, 세계에서 가장 빨리 늙어가는 대한민국,
고령화 시대의 정치 사회 경제적 영향).hwp 키워드 :
사회과학,노령화,문제,고령사회,인구,배경,추세,세계에서,가장,빨리